한글인터넷주소 사용 뿐만 아니라 인터넷의 원활한 사용을 저해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통칭하여 방해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방해 프로그램의 사전적 정의는 멀웨어(malware)라고도하며, malicious software(악의적인 소프트웨어)’의 약자로, 사용자의 의사와 이익에 반해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정보 유출, 정상적인 인터넷 검색 방해 등 악의적 활동을 수행하도록 의도적으로 제작된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국내에서는 악성 코드로 번역되며, 자기 복제와 파일 감염이 특징인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른바 비(非 )바이러스 악성 코드(non-viral malware)라고 불리는 악성코드들 중에는 바이러스 못지않은 파괴력과 위험성을 가진 것들도 많은데, 이 가운데 트로이 목마(trojan)와 최근 문제가 됐던 키보드 입력 유출 프로그램(key logger) 등이 대표적인 비바이러스 악성코드입니다. 이 비바이러스성 악성 코드로는 일부 원격관리 프로그램과 스파이웨어, 악성Plug-In 등과 같이 인터넷주소 후킹(Hooking, 인터넷주소를 특정 SITE로 가지고 가는 일) 등의 프로그램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악성코드'(또는 악성프로그램)란, 불법적인 방법으로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불법적인 또는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프로
그램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