Ȩּâ α ȸ ѱּ аԽ Ʈ Ŵ
Ȩ / ڷ / ڷ / 활용사례 응모
 
ѱͳּ
Ӽ ġϱ
ڱͳּ
ڱͳּ
Ȳ
ѱeּ
ѱͳּ ȫ
  ּǥ
  ּǥ
  ּǥ ҽ ޱ
  ǥ Ȱ
  ǥ Ȱ
Ǿ (NABI)
Ǿ UCC
Խ

 “한글인터넷주소” 와 “시작판”을 이용한 인터넷 활용교육 환경의 개선
̸   홍종현   ȸ   4267 
ѱͳּ   http://다시     게시일 :
Ȱü   활용매체 : 사이트/현수막/  
"한글인터넷주소" 와 "시작판"을 이용한 인터넷 활용교육 환경의 개선



반갑습니다. *^^*
"한글인터넷주소"(이하 "한인주") 는 인터넷을 사용/활용 하는 여러계층에게 평등한 "인터넷정보 접근환경"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인터넷 활용의 질적성장에 엄청난 도움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인터넷정보 접근성 개선"은 정부주도로 이루어져야할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무관심과 현실을 무시한 형식적인 개선에만 급급하여 왔던것이 현실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접근성 개선의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소인 "한인주"와 관련하여 넷피아라는 벤쳐기업이 다년간의 노력끝에 개발에 성공하고 이를 운영하게 되었습니다.그러나 일반회사의 존재목적은 당연히 영리추구로써, 그동안 "한인주"는 다분히 상업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부정 할 수 없습니다.
저는 우리나라 인터넷 활용의 미래 척도가 될 초기 인터넷 교육 환경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을 처음 배우게 되는 교육 환경을 개선하여 현재의 왜곡된 인터넷 활용 실태를 중,장기적으로 바꾸어 나갈 수 있다는 신념하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넷피아의 정책적인 목표에서 다분히 소외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를 포함한 각종 교육기관의 "한인주" 관련 정책에 대하여 아쉬움을 금치 못하고 이 글을 쓰게 되었음을 밝히고자 합니다. 넷피아에서 개발한 "한인주"는 원래의 취지대로 우리나라 국민들의 "인터넷정보 접근성 개선"의 최대 근간인 교육분야에서의 "한인주" 발전을 위해 노력하기를 촉구하는 바입니다. 또한 이것이 넷피아의 "한인주"의 중장기적인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개인적으로 경험한 내용을 토대로 넷피아의 "한글인터넷주소"를 초등학교 각종 인터넷활용 수업과 어르신, 장애우의 정보화 강좌에 활용하는 사례를 소개 드리고자 합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인터넷 사용성향과 활용형태등은 인터넷을 처음 접하게되는 시기에 형성되고, 이는 상당기간 지속되기 때문에 초기교육시의 "한글인터넷주소"의 활용은 "한글인터넷주소"의 중장기적인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것으로 확신합니다.


저는 5년여동안 활동한 인터넷관련 전문강사로써, 현재 초등학교 특기적성관련 4개강좌, 어르신정보화교육 1개강좌, 장애우 부진아관련 1개강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컴퓨터와 각종 인터넷 관련교육을 하면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개선하면서 이른바 "시작판" 이라 불리는 교육용 인터넷 시작페이지와 "한글인터넷주소"를 결합시킨 형태로 강좌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1) 현재 초등학교 및 각종 교육기관에서의 인터넷 활용 실태
초등학교를 비롯한 각급 초기 인터넷 교육기관의 컴퓨터실의 인터넷 시작페이지가 인터넷 활용 교육에 적합한 시작페이지가 아닌 일반인에 대한 포탈서비스에 촛점을 맞춘 "야후" 또는 "다음" 으로 되어 있어 비능률적인 수업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숲" 에 관한 많은 정보가 있어서 교과 시간중에 ICT 활용 사이트로 자주 이용되는 http://www.forestkorea.org 를 수업하고자 할 경우 사이트를 이동하는 방법은 대략 다음과 같이 세가지 입니다.
① 영어주소 http://www.forestkorea.org 를 직접 입력하여 이동한다.
② 검색사이트의 검색상자에 "어린이 숲" 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되어 나온 사이트 중에 "Kids Forest" 라는 사이트를 엽니다
③ 한글주소를 알고 있는 경우 "어린이숲" 또는 "포레스트코리아" 라고 주소창에 입력하여 바로 이동한다.
① 의 경우 30여명의 학생들이 접속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철자 오류도 많아 일종의 혼란이 야기 됩니다.

② 의 경우 검색결과가 수시로 바뀌고, 검색되어져 나온 사이트중에서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저학년의 경우에 다른 사이트를 클릭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소 불편하여도, 검색결과를 찾는것도 일종의 공부라 생각하여, 여러 선생님들이 사용하는 방법 입니다.
③ 의 경우 가장 좋은 방법으로 시간낭비과 혼란을 막아주며, 저학년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기억하기도 쉽습니다. 하지만, "어린이숲" 또는 "포레스트코리아" 라는 한글주소는 선생님들 사이에서 그리 잘 알려진 한글주소가 아닙니다. 그래서 Kids Forest 사이트를 접속할 때 "어린이숲" 이라는 "한글주소"를 사용하시는 선생님들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선생님들에 대한 "한글주소의 활용" 홍보부족으로 선생님들은 유용한 한글주소 사용보다 기존의 "영어주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ICT 활용 수업의 초반부에 진행되는 "필요한 사이트의 이동"은 대부분 ①과 ②의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동안의 습관으로 인하여 영어주소나 검색을 하는 비능률적인 방법을 사용 함에도 불구하고, 큰 불편을 느끼지 않고 있다고 선생님들은 말씀을 하십니다.
저는 ① ②의 문제점 해결과 ③의 대안으로 "시작판" 이라는것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2) "시작판"의 개요
"시작판"은 선생님들이 수업시간에 사용할 사이트의 주소를 미리 조사하여 링크형태로 나열하여 만들어 놓은 한페이지짜리 웹페이지를 말하며, 사용상의 편리를 위하여 "시작판"을 웹브라우저의 시작페이지로 지정하여 활용합니다. 각종 ICT 활용 수업이나, 인터넷활용 강의시에 인터넷을 시작하면 처음 열리는 화면에 수업에 사용할 사이트 목록들이 나열되어 있는 "시작판"이 열리기 때문에 학생들이 마우스 클릭 한번만으로 바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특히 저학년 학생이나 어르신들에게는 더할 나위없이 편리한 방법입니다. 또한 한글주소 이동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서, Goi 또는 드림위즈도우미 같은 플러그인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한글주소" 사용에 문제가 있는 곳들도 아무런 장애 없이 한글주소를 활용 할 수 있습니다.
한 사이트 방문후 다른 사이트로 이동 할 경우 웹브라우저의 "홈" 단추를 이용하여 정거장 처럼 "시작판"으로 돌아오며, 선생님이 준비한 다른 사이트 이름을 클릭만 하면 바로 이동 할 수 있습니다.
분야별 시작페이지 - http://dasee.net
"시작판"을 활용하면서 선생님 학생간에 편리함이 인식되어 제가 근무하던 초등학교에서 여러 선생님들이 사용하게 되었는데. "시작판"의 용도가 틀린 경우가 많아 사이트목록과 외관을 여러가지로 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분야별로 구분된 여러가지 "시작판"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시작판 생성 사이트 - http://dasee.org
기존의 링크형태의 "시작판"을 선생님 각각의 용도에 맞게 스스로 수정 할수 있고 자동으로 선생님의 고유한 주소에 생성할 수 있도록 http://dasee.org 에서 사용자등록을 하여 "시작판"을 생성하면, 아주 빠르고 손쉽게 모든 사이트 목록을 수정할 수 있으며, 개인화된 고유한 "시작판" 을 만들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여러 선생님과 일반 사용자들이 조사하여 만든 훌륭한 목록들을 수집하여 다른 선생님들도 공유할 수 있도록 http://dasee.net 에 모아 놓고 열람 또는 시작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3)"한글주소" 와 "시작판" 의 결합
분야별로 만든 시작판과 사용자임의로 만들어 사용하는 "시작판"을 제가 근무하던 지역의 초등학교 컴퓨터실, 각급 교실, 학원, 노인종합복지회관, 사회복지시설등에 보급하여 여러가지 활용효과를 얻었으나, 이를 타지역에 보급하는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 컴퓨터 교육장에는 관리상의 편리를 위하여 "하드보안관"과 같은 복원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서, 컴퓨터를 재부팅 할 경우 저장한 데이터나 웹브라우저의 시작페이지를 변경하여도 다음시간에 컴퓨터를 사용하려면,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 버리게 됩니다. 그러나 시작판에 대한 효용성에 대해서 알지 못하는 교육기관측에 협조를 받기도 어려울 뿐더러 복원프로그램을 일시정지 시키고 일일이 컴퓨터의 시작페이지를 모두 바꾼다는 것은 상당히 곤란한 문제가 아닐 수 없었습니다.
▶ 이로 인하여 타 교육장에서 교육할 때에는 어쩔 수 없이 매번 영어주소를 입력하여 접속하여 "해당시작판"을 시작페이지로 지정하여 사용 할 수 밖엔 없었습니다. 또한 여러강의를 진행하면서 각기 다른 "시작판"을 사용한 저는 여러 개의 "시작판" 주소를 관리하기도 번거로웠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방법으로 "한글주소" "다시"를 사용하는 것 이었습니다. 즉, 한글주소 "다시" 에 제가 강의에 사용하고 있는 "시작판" 주소를 모아 놓고, 또한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분야별 시작판"도 정리하여 모아 놓는 것입니다.
현재 한글주소 "다시" 에는 분야별 시작판 30종 과 함께 4개 강좌의 시작판, 2개 강좌의 게시판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30종의 시작판은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바로 시작페이지로 지정하여 활용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 초등학교 컴퓨터 재량교육 시간 ]
▷웹브라우저를 연다
▷ 주소줄에 "다시" 입력
▷ http://dasee.org/405 를 클릭
▷ "시작으로지정" 클릭 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 홈페이지반 ] "다시" 입력 ▷ "905" 클릭
[ 기독교 ] "다시" 입력 ▷ "church" 클릭
[ 어르신 정보화 교육 ]
"다시" 입력 - http://dasee.org/doum 을 클릭 ▷ 시작판에 포함된"돋보기"기능을 클릭하여 글자를 크게한다
이 방법은 컴퓨터실의 하드보안관을 건드리지 않아도 되고, "다시" 라는 간단한 한글주소가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도 노인복지회관의 어르신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한 초등학생들이 방과후에 가정에서도 손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교에서 사용하던 "시작판"을 집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되어 아주 유용합니다.
(4) 한글주소 "다시" = http://dasee.net = 분야별 시작판 제공 사이트
▶ 초등학교 ICT활용 교육, 재량학습(컴퓨터), 특기적성교육(컴퓨터) 에 활용할 수 있는 분야별 인터넷 시작페이지 (이하 "시작판" 이라 칭함)를 제공하는 곳
▶ 어르신 정보화 교육, e-korean , 시민인터넷 등의 대 국민 정보화 교육시 활용 할 수 있는 시작판을 제공하는 곳
▶ 학습부진아, 시력저하 학생, 장애우의 인터넷 학습을 위한 시작판을 제공하는곳
▶ 종교, 정보검색, 홈페이지 제작 등의 특수한 용도의 분야별 시작판 을 제공 하는곳
▶ 자신만의 사이트목록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고유한 주소에 시작판을 만들 수 있는 곳 http://dasee.org (시작판의 사이트 목록 및 외관을 자유롭게 수정 가능)
▶ dasee.org를 모체로 하여 개발된 각종 시작판이 있습니다.
- 초등학교 컴퓨터실용(http://dasee.net/es.html) 11종
- 일반/특수용도(http://dasee.net/adult.html) 11종
- 어르신/정보화교육용 (http://dasee.net/silver.html) 11종
- 개인강의용도로 등록된 시작판(dasee.net 상단의 등록시작판) 4종, 게시판 2종
(5) "시작판" 에 있어서 "한글주소"의 의미
▶ 분야별 시작판 30종과 4종의 강좌시작판 2종의 강좌게시판을 운영하는 저로써는 "한글주소" 가 없었다면, 관리하기가 상당히 힘들었을 것입니다. 또한, 각급학교 및 교육기관에 유용한 "시작판"을 보급하는데 있어서 하드보안관과 같은 복원프로그램 또는 전체 컴퓨터의 시작페이지를 바꾸는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해주었다는데 고마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 제가 개발하고 있는 "시작판"은 이른 바 "정보화소외계층" 이라고 불리는 어르신, 장년층, 저학력층, 등의 계층의 웹접근성 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또한, 영어인터넷주소로 인하여 비능률적인 인터넷 활용수업을 하고 있는 교육현장의 웹접근성 또한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웹접근성 개선의 차원에서 "한글주소"는 훌륭한 도구로써 뿐만 아니라, "시작판"의 보급과 운영에 대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6) 각종 교육기관에서의 "한글인터넷주소" 와 "시작판" 의 활용의미
그동안 한글주소 "다시"는 유보어 상태였습니다. 2003년 2월 본 싸이트의 발음과 일치하며, 싸이트의 목적이 "교육용 시작페이지" 라는 공익적인 면이 인정되어 다행스럽게도 한글주소 "다시"가 유보어 상태에서 해제되어 http://dasee.net 이 한글주소 "다시"로 연결 되었습니다. 2003년 3월부터 현재 까지 각 분야에 "다시" 와 "다시"에 포함돤 분야별 "시작판"을 접목하여 실제 수업을 진행하고, 각 교육기관에 보급을 시작하였습니다.
▶ 2년여동안 개선하여온"시작판"에 한글주소 "다시"를 접목시켜 비로소 여러가지 형태의 활용형태를 만들수 있었고, 비능률적이고 왜곡된 초기 인터넷 교육환경의 개선을 꾀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장래 또는 근래의 미래에 우리나라 인터넷 사용 및 활용의 질을 결정하게되는 초기 인터넷 교육현장의 인터넷 교육환경의 개선은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러나, 초기 인터넷 교육이나 인터넷 활용 교육을 담당하시는 선생님들의 인터넷 활용도와 활용기술은 천차만별입니다. 이를 "한글주소" 와 "시작판"의 활용으로 상향평준화 시킨다면, 우리나라의 정보강국화 기초를 다질 수 있는 훌륭한 결과를 얻어 낼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7) 한글주소 "다시" 와 "시작판"의 활용 효과
▶ 각급 교육기관에 "한글인터넷주소" 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었으며, "시작판"과 병행하여 ISP 환경이나 기타 프로그램으로 한인주 사용에 문제가 있더라도, 이상없이 "한글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학생, 선생님들에게 교육에 활용할 다수의 훌륭한 사이트를 알릴 수 있었으며 이로써 ICT 활용수업의 질이 높아 졌습니다.
▶ "시작판" 보급의 길이 열렸으며, 여러분야에 "시작판"을 적용시키고 각종 활용사례를 모을 수 있었습니다.
▶ 알기쉬운 한글주소를 사용하여 학교와 가정, 또는 다른지역에서도 공히 "시작판"을 사용할 수 있게되어 학교와 가정의 연계/연장 교육이 가능 해졌습니다.
▶ 3~6 학년이 한반으로 구성된 통합 컴퓨터 교육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저학년들이 인터넷 사이트 접근 속도가 늦기 때문에 수업집중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향상시켜 고학년 저학년간의 평준화를 이룰 수 있었습니다.
▶ 1~2 학년 학생들도 각종 수업관련 사이트에 손 쉽게 접속하여, 인터넷 활용 수업이 가능해졌습니다
▶ 선생님들이 분야별 시작판에 접근하는 것이 편리해져서 예전 보다 많은 선생님들이 시작판을 활용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한글주소를 시작판의 연결고리로 사용 함으로써, 좀더 많은 강좌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 어르신 및 정보화소외계층에서도 좀 더 쉽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어르신의 경우 "한글주소"와 "시작판"의 활용은 절대적인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필자 인적사항
이름 : 홍종현
연락처 : 02) 895-6746 016-345-8297
홈페이지 : 한글주소 "다시"▷ http://dasee.net
시작판만들기 http://dasee.org
이메일 : dasee@dasee.org sohocom@naver.com
 
 
  "특허" 자동차모기장 
  원룸천국 




ѱEnglishJapanese ä å ޹ħ åѰ ̸Ϲܼ ź
  ǥȭ : 02-3665-0123    : 02-2165-3000   FAX : 02-2671-5613   e :
Copyright (C) 1995 - 2025 Netpi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