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12월 10일부터 한글인터넷주소 유보어 분류 기준이 개정됩니다.
그동안 일반명사형 유보어 해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요구가 제기되면서, 넷피아는 보다 광범위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넷피아 홈페이지에서 여론을 수렴하였습니다.
지난 11월 20일부터 11월 28일까지 8일 동안 일반명사형 유보어 해제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접수한 결과 한글인터넷주소 활성화를 위해서 일반명사형 유보어는 해제되어야 한다는 것이 대다수의 의견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2002년 12월 10일부터 개정된 한글인터넷주소 유보어 분류 기준이 적용됩니다.
개정되는 한글인터넷주소 유보어 분류 기준을 반드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개정 한글인터넷주소 유보어 분류 기준 안내 ]
유보어 분류 기준
2002년 12월 10일 개정
I. 유보어 분류정책 수립의 취지
2002. 7. 1. 개정ㆍ시행된 등록약관에 따라 유보어 분류의 원칙을 확정하고, 이를 한글인터넷주소 등록인과
일반 이용자들에게 공지함으로써, 한글인터넷주소의 이용을 활성화하고 미래지향적인 한글인터넷주소 등록원칙을 수립하고자
함.
II. 유보어 분류의 일반원칙
1. 유보어의 정의
한글인터넷주소의 공공적 운영과 안정적/확장적 운영을 위해 등록이 유보되어
있는
한글인터넷주소
2. 유보어 설정의 필요성
1) 국명이나 공공기관명 등의 경우 이용자의 신뢰 보호
2) 고유명사 등의 경우 공공적 목적에 의한 사용 필요
3) 한글인터넷주소, 즉 한글이라는 언어의 특성을 고려
4) 이후의 이용자, 장기적으로는 후손들을 위한 서비스의 확장성 고려
5) 한글발전기금 등 공익적 기금 마련을 위한 한글 및 한글인터넷주소의 특성 고려
3. 유보어의 분류 원칙
1) 일반원칙
① 민족적 자원인 한글인터넷주소의
이용을 활성화하면서 동시에 이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유보어의 범위를 최소화
② 공공적/범용적 서비스를 위한
목적과 안정적/확장적 서비스를 위한 목적에 따라
유보어를
설정
2) 공공의 이익을 위한 공공적/범용적 서비스
① 공공의 서비스를 나타내거나 연상할 수 있는 문자 및 숫자와 그 조합으로서 절대 다수
이용자의 기대에 부합되도록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및 숫자와 그 조합
② 사회적 관습을 해치는 문자
및 숫자와 그 조합
3) 한글인터넷주소의 안정적/확장형 서비스 고려
① 향후 한글인터넷주소를 이용한
확장형 서비스 제공 및 안정적 서비스와 관련되어
사용될 수
있는 문자 및 숫자와 그 조합
② 한글인터넷주소 운영을 위한
기반시설운영에 관계되거나 한글인터넷주소의 운영에
필수적인
서비스명이나 기술, 설비 등에 관계되는 문자 및 숫자 와 그 조합
III. 유보어 선정의 구체적인 기준
1. 일반 기준 및 범위
1) 공식적인 명칭을 기준으로 하되, 통용되는 명칭을 고려.
단, '통용되는 명칭'의 경우
통용의 정도/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분류에 한계가 있음.
2) 외래어, 외국어는 표준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우리말 한글 표기, 영어발음 한글 표기,
영문 표기
등이 모두 포함됨.
3) 고유명사의 변경,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일반명사 범위의 변화, 한글인터넷주소의
범용적 확장 서비스의 변화 등의
경우로 인하여, 유보어는 추가, 삭제, 변경등의
방법으로 재분류 가능.
유보어의 분류정책의 변경, 유보어의 재분류 등은 등록약관 제5조에 의함.
2. 국가명이나, 지명, 공공기관명 등의 고유명사의 경우,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대백과사전에 기재된 문자 및 숫자와 그 조합을 유보어로 선정.
1) 국명 등
①
대륙명 : 대륙명, 국가명, 해양명
②
역사적 국가명 : 국내, 국외
2) 국가기관명 등
①
정부기관명 : 행정부명, 입법부명, 사법부명, 지방자치단체명 (읍,면,동까지)
교육자치단체명,
정부산하기관명, 국방 및 군사관련명
②
교육기관명 : 초등학교명, 중학교명, 대학교명, 기타 학교명
③
협회/단체명 : 협회 및 단체명
3) 지명 등
①
행정단위명 : 도명, 시명, 군명, 구명, 동명, 읍명, 면명, 리명
②
국내자연명 : 강명, 산맥 및 산명, 바다명, 섬명, 강 및 호수명
③
국외자연명 : 강명, 산맥 및 산명, 바다명, 섬명, 강 및 호수명
④
국가기반 시설명 : 공항명, 항구명, 터미널명, 국내외 관광지명
국내문화재명(국보,
보물), 국외문화재명(유네스코선정국제유산)
4) 사건명 등
①
국경일 : 국내 국경일
②
명절 : 국내 명절명
③
역사적 사건명 : 국내외 역사적 사건명
5) 인명
①
역사적 인물
-
기준 : 중학교 국사 국정 교과서 수록인물
②
인터넷주소의 한글화에 공헌하신 분
-
기준 : 한글인터넷주소 추진 총 연합회 선정 인물
③
현존 주지저명 인사 (한시적 유보어 - 2002년 12월말까지 유보함)
-
기준 : 언론사 인물정보 DB
※ 주지저명 인사에 대한 유보어 설정 및 운영은 헌법이 보장 하는 국민의
평등권
(헌법 제11조)을 침해할 소지가
있으므로 2002년 12월 말까지 한시적 유보어로 관리.
3. 사회적 관습, 미풍양속을 해치는 문자 및 숫자와 그 조합은 방송언어심의위원회규정에 따라
선정된 단어를 유보어 기준으로 설정함.
4. 숫자의 경우는 기존 숫자인터넷주소의 유보어 정책에 의함.
5. 한글인터넷주소의 범용적 확장 서비스를 위한 1차 유보어는 지역명을 나타내는 고유명사와
경제어를 나타내는 일반명사로 함.
6. 적용일 : 2002년 9월 2일
1차 개정일 2002년 12월 10일
※ 운영위원회나 분쟁조정위원회에서 정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적용일 이전에
등록된
한글인터넷주소에 대해 소급 적용되지 않음.
V. 한글인터넷주소 유보어 설정을 위한 참고자료
1. 두산 세계 대백과 사전 |
두산동아출판사업편집국 |
두산동아 1999.1 |
2.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Britannica,Inc 한국브리테니커
2002.1 |
3. 표준국어대사전 |
국립국어연구원 |
두산동아 2000.1 |
4. 컴퓨터정보통신 용어사전 |
두산동아출판사업편집국 |
두산동아 2001.1 |
5. 대한민국 전자정부 |
www.egov.go.kr |
|
6. 통계청 직업, 업종 |
www.nso.go.kr |
|
7. 한국통신 전화번호부 업종 |
www.infopages.co.kr |
|
8. 조인스닷컴 인물정보 |
people.joins.com |
|
9. 조선일보 인물DB |
www.dbchosun.com/man |
|
10. 전자신문 용어 검색 |
www.etnews.co.kr |
|
11. 야후 디렉토리 분류명 |
kr.yahoo.com |
|
12. 네이버 디렉토리 분류명 |
www.naver.com |
|
13. 옥션 물품 품목명 |
www.auction.co.kr |
|
14. 야후쇼핑 물품 품목명 |
kr.shopping.yahoo.com |
|
15. 롯데닷컴 물품 품목명 |
www.lotte.com |
|
16. 삼성몰 물품 품목명 |
www.samsungmall.co.kr |
|
17. 벼룩시장 물품 품목명 |
www.findall.co.kr |
|
18. 교보문고 도서 분류명 |
www.kyobobook.co.kr |
|
19. 영풍문고 도서 분류명 |
www.ypbooks.co.kr |
|
20. 기 등록 한글인터넷주소 |
(2002.6.30까지 운영분) |
|
21. 한글인터넷주소 관련 기 유보어 리스트 |
(2002.6.30까지 운영분) |
|
22. 한글인터넷주소 이용 우선 순위 리스트 |
(2002.6.30까지 운영분) |
|
23. 닷kr 도메인 체계 및 예약어에 대한 연구 |
한국인터넷정보센터 200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