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글인터넷주소라는 용어 대신 ‘한글키워드’ 또는 ‘한글키워드서비스’라는 용어가 언론보도 등을 통해 종종 사용되는 바람에
개념적으로 혼선을 빚고 있습니다.
한글인터넷주소는 키워드형 인터넷주소 서비스로, 키워드 검색서비스와는 다릅니다.
키워드라는 같은용어가 사용돼 착각을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키워드 서비스는 키워드 검색서비스를 뜻하는 말로서, 주소창을
통해 한글인터넷주소로 연결하는 넷피아의 한글주소 서비스와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넷피아는 이 같은 개념상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처럼 키워드형 주소와 키워드서비스간의 차이점에 대해 명쾌하게 정의를 내렸습니다.
이를 참고하셔서 앞으로는 두 용어를 놓고 의미상 혼란을 겪는 일이 없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키워드형 주소와 키워드 (검색)서비스의
차이>
구분
키워드형 주소
키워드 (검색)서비스
정의
- 일반 도메인이 .(dot)으로 구분된 계층형 인터넷 주소라면 키워드형 주소는 .(dot)이 없는 비계층 형의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넷주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넷피아의 한글인터넷주소는 ‘넷피아’ 처럼키워드를 주소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키워드형 인터넷주소’를 뜻합니다.
-특정 사이트의 주소창이 아닌 검색창에 키워드로 된 단어 또는 문장으로 질의를 할 경우, 복수의 관련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연결방식
주소창에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등록자가 지정한 주소(사이트)로 곧바로 연결함으로써 주소의 유일성이 보장되는 방식입니다.
다만, 등록되지 않은 키워드형 주소일 경우에는 에러 페이지가 화면에 뜨거나 사용자 편의를 위해 관련 주소를 찾아(look up)
보여주기도 합니다.
내부적으로 이미 구축된 DB내에서 유사성 혹은 관련성을 기준으로 우선 순위에 따라 정해진 검색(search)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여러 개의 결과 값을 보여주므로 유일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서비스 형태
키워드형 주소 입력시 등록된 IP주소로 연결되므로 해당 IP주소의 웹사이트가 화면에 뜨게 됩니다.
특정 사이트 내 검색결과가 노출되는 서비스방식으로, 사이트 운영기준에 따라 검색결과가 변하게 됩니다.
특징(차이점)
등록자가 지정한 키워드형 주소에 대해 언제나 같은 사이트가 화면에 보여집니다. 따라서 등록이 유지되는 동안 인터넷 주소의 유일성이
확실하게 보장됩니다.
내부 우선 순위와 보유하고 있는 DB(데이터베이스)에 따라 결과 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는 계층형과 비계층형에 관한 부연 설명입니다
이처럼 키워드형 주소는 사용자가 .(dot)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간편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즉, 3단계 키워드만 살아 남아 키워드형태라고 명명하게 됐지만, 실제로는 1단계와 2단계를 건너뛰는 기술혁신을 이룬 차세대형 인터넷주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